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언론보도

창업 궁금증, "이노플러스"에서 해결하세요~!

  • 작성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작성일 2016-05-25
  • 조회수 4,439




창업 궁금증, '이노플러스'에서 해결하세요~!

- 대덕특구 코워킹스페이스, 이노플러스(InnoPlus) 새롭게 확대·개편 -

- 이노포럼, 이노클래스 등 매월 다양한 정기 프로그램 추진 -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사장 김차동, 이하 ‘특구재단’)은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 창업 및 교류협업

   공간인 ‘이노플러스(InnoPlus*)’를 새롭게 확대·개편한다고 25일 밝혔다.


   * 이노플러스(InnoPlus) : 대덕특구내 연구소기업 및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하여 지난 11월에 오픈한 코워킹 스페이스로,

     아이디어와 정보를 공유하고 협업을 통해 플러스(시너지)를 창출하는 교류협업공간


 ㅇ 특구재단은 창업업무공간 및 세미나실 등 공간부족을 해결하고자 기존의 40석을 80석으로 확대하고, 세미나실

     마다 디스플레이 설치 및 필요시 노트북 대여를 통해 이용자 편의를 강화할 계획이다.


 ㅇ 또한, 컨설팅 공간을 신설하여 대덕특구 엑셀러레이터 및 분야별 전문가의 멘토링을 상시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

     며, 이용요일도 평일에서 주말(토)까지 확대된다.



□ 대덕테크비즈센터(TBC) 1층에 마련된 ‘이노플러스’는 업무공간과 네트워킹 라운지, 4개의 세미나실을 갖추고 있

   으며, 별도로 데모데이, 포럼 등 대규모 행사를 열 수 있는 콜라보홀(100인 수용)이 마련되어 있다. 


 ㅇ 이노플러스 공간예약, 행사프로그램 등은 이노플러스 홈페이지(www.innoplus.kr)를 통해 신청·확인할 수 있도록

    오픈할 계획이다.



□ 이노플러스는 그동안 특구창업지원사업인 이노폴리스캠퍼스 및 엑셀러레이터 사업 등과 연계하여 잘 운영되어 왔

   지만, 좀더 체계적이고 짜임새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지난달 전문운영업체를 선정하였다.


 ㅇ 이달부터는 연구개발특구(Innopolis)의 영문약칭인 INNO를 브랜드화하여 ∆이노포럼(INNO Forum), ∆이노클래

     스(INNO Class), ∆이노멘토링(INNO Mentoring), ∆이노데이(INNO Day), ∆이노파티(INNO Party) 등 기술창업 

     정기 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이다. 


 ㅇ 대덕특구 엑셀러레이터의 상시 상담과 함께 매주 목요일에는 기술사업화, 마케팅, 법률, 시제품 등 정해진 분야

     별 전문가와 상담할 수 있으며, 매월 셋째주 목요일에는 각 분야 전문가를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이노멘토링

     이 열린다.


 ㅇ 이노클래스에서는 출연연 등이 보유한 기술에서 창업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사업화로 연계하는 ‘공공기술 활용 

     창업 교육’이 5월부터 시작되며, 우수한 기술사업화 모델을 선정하여 해외 경진대회 출전을 지원하는 ‘스타트

     업 컵(Startup Cup) 지원 프로그램‘도 추진할 예정이다.  


 ㅇ 또한, 넷째주 목요일에는 기술 기반 스타트업이 투자자 등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이는 

     이노데이를 통해 스타트업의 자금조달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ㅇ 매월 넷째주 화요일에는 창업관련 명사를 초청하는 이노포럼을 통해 특강 및 토크콘서트 등 추진되고, 이후에는

     창업 관련 파트너가 함께하는 네트워킹 행사(이노파티)가 진행된다.



□ 특구재단은 ‘이노플러스’에서 싹튼 기술창업 아이디어가 다양한 프로그램과 전문가들과의 협업 활동을 통해 연구

   소기업 설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연구소기업지원센터와 연계하는 등 맞춤형 지원도 추진할 예정이다. 



□ 특구재단 김차동 이사장은 “연구개발특구의 공공기술을 기반으로 창업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하여 기술, 정보, 사

   람이 상호연계되는 기술창업의 허브공간으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공공누리 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가능)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창작한 본 저작물은 「 공공누리 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가능) 」 조건에 따라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