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언론보도

특구 공공연구기관 및 기업 대상 하반기 해외진출지원사업 지원기관 모집

  • 작성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작성일 2015-09-17
  • 조회수 4,616


특구 공공연구기관 및 기업 대상 

하반기 해외진출지원사업 지원기관 모집 

- 지원사업 통해 특구 내 기관의 해외진출 초석 다져 - 

                     ① KISTI : 한국 NTIS 카자흐스탄 수출 교두보 마련

                 ② 안전성평가연구소 : 공동 참여 기업((주) 크로엔리서치), 베트남 

                     정부기관과 공동 전문 분석기관 설립 본격 추진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사장 김차동, 이하 특구재단)은 국가간 과학기술분야의 협력 확대를 위하여 2015년 하반기

   STP(과학단지)간 교류협력 지원사업을 공고한다고 17일 밝혔다.



□ STP간 교류협력 지원사업은 개발도상국 등 양 국가의 과학기술분야 협력을 기반으로 과학기술 노하우 전수 및 특구

   기업의 해외진출지원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ㅇ 지원대상은 개발도상국 등과 협력을 통해 특구 공공기술을 글로벌사업화를 추진하고자하는 특구 연구기관-기업

    -개도국 연구기관과의 컨소시엄이다. 



□ 특구재단은 그 동안 STP간 교류협력 지원사업을 통해 특구 공공 연구기관 및 기업의 해외진출 초석을 다지고 있다.



□ 첫째, 한국의 ‘NTIS*(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구축노하우 카자흐스탄 수출’ 기반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사업을

   착수하였다. 


 ㅇ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2013년 특구재단의 ‘한국-카자흐스탄 기술협력센터’를 통해 NTIS* 노하우 

     전수 관련 논의를 시작하였고, 2014년 6월에 한-카자흐스탄 정상회담에서 NTIS가 의제로 채택되어 양국 정부

     (한국 :미래창조과학부, 카자흐스탄 : 교육과학부) 간 MOU를 체결하였다. 


 ㅇ 이어 2015년 STP간 교류협력 지원사업을 통해 카자흐스탄 정부와 협력**하여 국가R&D정보 현황조사, 공동

     세미나등 본격적으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 NTIS : 국가R&D정보 연계를 통해 사업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연구성과 등 약470만 여건의 방대한 자료를 

     국가 차원에서 공동 활용하는 국가R&D정보지식 포털


   ** 카자흐스탄 교과부(NCSTE, NCSTI), 투자부(NATD), 농림부, 보건부 등 11개처



□ 둘째, 베트남 농산물 안전 문제 해결을 위해 안전성평가연구소도 해외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ㅇ 안전성평가연구소는 베트남 과학기술부 산하 화학기술원 (ICT,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과 농산물 

     안전성 문제를 논의하다 STP간 교류협력 지원사업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협력의 물꼬를 텄다.


 ㅇ 안전성평가연구소로부터 기술전수를 받은 (주)크로엔리서치*는 베트남 정부기관과 공동 전문 분석기관 설립 

     등을 본격 추진한다.


   - (주)크로엔리서치는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MARD, 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산하 베트남

     남부 작물보호제 관리센터(SPCC, Southern pesticide control center)와 2015년 8월 작물보호제 잔류분석 시험

     서비스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현지 합작법인 설립 논의 등 현지 진출을 가시화하고 있다. 


   * STP간 교류협력사업 참여기업으로 비임상시험 분석 전문 CRO기관 및 작물 보호제 잔류분석·독성시험 전문기업



□ 특구재단 김차동 이사장은 “연구개발특구의 글로벌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과학기술분야에 해외 교류협력이 활발해

   지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과학기술교류를 토대로 특구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지원을 적극 강화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 한편, 지원사업에 관한 상세내용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홈페이지 (www.innopolis.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공공누리 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가능)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창작한 본 저작물은 「 공공누리 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가능) 」 조건에 따라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