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언론보도

대덕특구, 사회문제해결형 과제 등 ‘15년 기술사업화 신규 지원과제 20개 지원

  • 작성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작성일 2015-06-10
  • 조회수 4,895



대덕특구, 사회문제해결형 과제 등

‘15년 기술사업화 신규 지원과제 20개 지원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사장 김차동, 이하 특구진흥재단)은 대덕특구 우수기술을 이전받은 20개 기업의 사업화 

   모델을 ‘15년도 특구기술이전사업화 신규 지원과제로 선정하고 지원한다고 10일 밝혔다.

 

ㅇ 기술이전사업화 사업은 특구 내 출연연․대학이 보유한 공공기술을 이전받아 산․학․연이 공동으로 사업화를 추진

   하는 사업으로 2년간 최대 8억원까지 지원한다. 본 사업은 사업화를 위한 추가 R&D, 마케팅, 시제품 제작, 인증 

   등을 거쳐 실질적 매출까지 연결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 특구진흥재단은 특구 내 대학, 출연()의 사업화 유망기술 발굴 시스템인 기술찾기포럼을 통해 발굴된 약 390

   개 기술 중 2년내 사업화가 가능한 특구 추천기술 93건을 ‘152월 공고했다.

 

121개 기업으로부터 특구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모델을 접수받아, 20 과제를 최종 지원과제로 확정하였으며

   이중 특구 추천기술을 활용한 사업화과제는 15(75%)가 선정되었다.

 

〈대덕특구 기술사업화 지원과제 선정절차〉

기술찾기포럼

(‘14년 상시)

사업공고

(‘15.2)

서류평가

발표평가

협약체결

 

 

 

기술이전계약



□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기존의 신시장을 개척하고자 하는 기술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문제해결을 

   위한 기술로 대덕특구의 기술을 활용한 신시장 진출 및 일자리창출 가능성에 중점을 뒀다.

 

ㅇ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문제해결을 위한 사업화 과제로는 


  - ▲고농도의 미세먼지 집진장치 사업화(()태광이엔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산업제어시스템 침해사고 전조

    증상 탐지 기술을 활용하여 국가기반시설의 사이버 보안 시스템 상용화(()엔에스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이

    대덕의 신기술로 사업화를 추진한다.

 

ㅇ 또한, ▲외국에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열분해유 저급 원료를 활용한 이차전지용 음극재의 국산화(()유니코

    정밀화학, 한국화학연구원), ▲고가의 해외 상용 라이다 제품을 대체하기 위한 3차원 풍향․풍속 관측용 라이다

    스템 사업화(()솔탑, 한밭대학교) ▲ 유기성 폐기물 및 하폐수의 빌딩용 현장처리 및 자원화 사업화(()호영테크,

    한국과학기술원) 등은 신기술로 기존시장을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고 대체할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 사례가 될 수 

    있다.

 


□ 이번 사업을 통해 대덕특구 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 20(정액기술료 33.5억원)이 기업에 이전되었으며, 과제 종료 

   후 5년간 1,689명의 일자리 창출과 14,996억원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 대덕연구개발특구본부 김용욱 본부장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사업화과제들과 특구기술을

   활용한 신시장 창출 과제들이 중점적으로 선정됐다앞으로 기술찾기포럼을 통해 발굴된 특구의 유망기술이 사업

   화와 연계되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공공누리 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가능)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창작한 본 저작물은 「 공공누리 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가능) 」 조건에 따라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