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언론보도

대덕특구 40주년 기념, 국제컨퍼런스 개최

  • 작성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작성일 2013-11-08
  • 조회수 7,040

 

대덕특구 40주년 기념, 국제컨퍼런스 개최
- 노벨상 수상자 등 국내외 저명인사 대거 참석 -

 


□ 올해로 40주년*을 맞이하는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 舊 대덕연구단지)의 글로벌화를 통하여 세계적인 혁신클러스터로 성장하고자 하는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 (‘73.11.30, 건설부 고시 제426호) 대덕연구단지를 ‘교육 및 연구지구’로 결정고시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11월 29일(금)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대덕특구 40주념 기념 ‘국제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11월 10일 밝혔다.

  ㅇ 이번 컨퍼런스에는 노벨상 수상자 등 국내외 저명인사 및 클러스터 관계자 등 20여개국 300여명이 참석하여 ‘창조경제를 선도하는 대덕특구의 미래발전방향’이라는 주제로 과학기술과 출연(연)의 역할, 과학기술 비즈니스의 새로운 패러다임 등을 발표한다.

  ㅇ 첫 번째 세션에서 ‘창조경제와 과학기술의 발전’에 관한 다양한 발표가 이루어질 예정이며, 특히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12년)인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의 데이비드 와인랜드(David J. Wineland)* 박사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를 사례로 창조경제를 선도하는 과학기술과 출연연의 역할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선도형 과학기술 개발을 위해 필요한 핵심요소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 David J. Wineland : 빛 입자인 광자 등 양자미립자를 파가하지 않고 조작 및 측정할 수 있는 방법 개발

  ㅇ 두 번째 세션에서 ‘기술과 혁신’에 관한 다양한 발표가 이루어질 예정이며, 국제연합무역개발협의회(UNCTAD) 창조경제프로그램 수석연구원을 역임한 에드나도스 산토스 두센버그(Edna dos Santos Duisenberg)* 박사는 세계적 이슈인 새로운 기업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조산업 육성현황을 살펴보고 대덕특구에 적용하기 위한 추진방안 등을 제시한다.

     * UNDP-UNTAD 발행 “Creative Economy Report, 2010” 주저자

 

〈대덕특구 40주년 기념 국제컨퍼런스 발표주제〉

구분

발표주제 및 내용

발표자

세션

 

1

·창조경제를 선도하기 위한 과학기술과 출연(연) 역할(대덕특구 IBS 등을 중심으로)

데이비드 와인랜드 박사

(‘12 노벨 물리학상,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

·창조경제와 기초과학

오세정 원장

(기초과학연구원)

·과학기술기반의 비즈니스 전략

안네 크리스틴 리치코프

(핀란드 VTT 수석부사장)

·창조와 융합 : 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하여

최양희 이사장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

세션

 

2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산·학·연 혁신생태계 발전 전략

크리스티안 케텔스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

·기술과 혁신을 위한 대학의 역할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장순흥 교수

(K A I S T)

·창조적 기업과 일자리창출 활성화방향

에드나도스 산토스 두센버그

((전) UNCTAD 창조경제프로그램 수석)

 


ㅇ 그 외에도 하버드대학경영대학원 크리스티안 케텔스(Christian Ketels, 마이클포터 전략경쟁연수소장) 교수의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혁신생태계 전략” 및 핀란드 국립기술연구센터(VTT)* 리치코프(Anne-Christine Ritschkoff) 부사장의 “기술기반 비즈니스 전략” 등의 발표가 있다.

     * VTT(‘Technical Research Center of Finland’ 핀란드어 약어) : 북유럽 최대 공공연구기관으로 ’11년 기준 연구인력 2,818명, 연구비 278백만유로

 

□ 미래부 용홍택 연구공동체정책관은 “대덕특구는 지난 40년 간 창출한 우수한 과학기술과 연구인력, 인프라를 토대로 앞으로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번 국제컨퍼런스를 통해서 그동안의 성과공유 및 창조경제시대 역할모색 등으로 대덕특구를 글로벌화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ㅇ 한편, 미래창조과학부는 컨퍼런스 개최를 즈음하여 이번에 참석하는 석학들이 창조경제와 과학기술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는 합동브리핑 등도 계획하고 있다.

「 공공누리 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가능)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창작한 본 저작물은 「 공공누리 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가능) 」 조건에 따라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