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언론보도

연구개발특구, 숫자로 보는 「연구소기업」

  • 작성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작성일 2013-02-06
  • 조회수 11,970

       연구개발특구, 숫자로 보는 「연구소기업」
                   - 연구소기업 38호 등록 및 매출액 1,100억원 돌파 추정
               - 전년대비 창업 28.5%↑ 매출액 51.9%↑ 일자리 창출 69%↑

 

 

 

□  지식경제부(장관 홍석우)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사장 이재구, 이하 진흥재단)은 시행 7년차인 연구소기업  육성 정책의 주요 추진 결과를 발표했다.

 

□  연구소기업 창업 총38건

  ㅇ 진흥재단은 ‘12년 말 기준 총38개의 연구소기업이 등록되었다고 밝혔다.

    - 작년 경우 연구소기업 창업 활성화 노력으로 총9개의 연구소기업을 설립하여, 국가 경제여건이 부진한 상태에서 전년대비 28.5% 증가를 이뤘다.

  ㅇ 기술 분야별로는 IT분야에서 연구소기업 창업이 5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소기업 등록 현황>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등록 수

2

3

7

7

3

7

9

누적 등록 수

2

5

12

19

22

29

38

 

 

 

<분야별 연구소기업 현황>

구분

전기

전자

정보

통신

바이오

의료

기계

소재

에너지

자원

지식

서비스

화학

개수

8

13

7

6

1

1

2

비율

21%

34%

18%

16%

3%

3%

5%

 

 

□  ‘12년 연구소기업 전체 매출액 1,100억원 돌파 추정

  ㅇ 연구소기업 작년 전체 매출액 조사에 따르면 연구소기업 육성정책 시행 7년차에 처음으로 1,100억원

(전년대비 51.9%)을 돌파할 것으로 추정된다.

  ㅇ 이는 연구소기업 연평균 매출 증가율이 111%에 이르는 것으로 연구소기업 성장이 본궤도에 오르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소기업 매출액 현황>

(단위:백만원)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매출액

1,240

5,688

14,919

28,386

43,005

72,482

110,145

* 2012년 : 추정 매출액임

 

□  일자리 창출 52배(‘06년 10명 → ’12년 524명)

  ㅇ 연구소기업의 총 직원이 ‘06년 10명에서 ’12년 524명으로 약52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어,  연구소기업이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책임 실천의 노력을 다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연구소기업 직원 수 현황>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직원 수

10

72

141

237

272

310

524

 

□  연구소기업 전략육성사업 투자 수익률 700%

  ㅇ 진흥재단은 연구소기업이 창업부터 안정적 성장을 위해 ‘10년부터 연구소기업 전략육성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ㅇ ㈜제이피이*의 경우 2008년 한국기계硏으로부터 ‘정밀광학필름 제조의 핵심기술’을 출자를 받아 연구소기업을 설립하였고, 2010년 전략육성사업을 지원받아 과제 수행 중 사업화에 성공하여 정부출연금의 100%인 56억원의 매출을 창출하였다.

□  제1호 연구소기업 ㈜선바이오텍

  ㅇ 연구개발특구의 연구소기업 제1호로 등록된 ㈜선바이오텍은 ‘연구성과 사업화’와 ‘벤처기업 성장’의 양축이 선순환하며 성장한 성공 사례이다. 

  ㅇ 제1호 연구소기업은 공공 연구성과의 사업화를 추진하려는 정부출연 연구기관과 신규 사업진출을

준비하는 중견기업이 기술과 자본을 각각 출자하여 설립하였고, 연평균 98% 이상의 매출 증가를 보이고 있다.

 

 

공공연구기관

 

 

연구소기업

 

중견기업

한국원자력연구원

㈜선바이오텍

한국콜마㈜

기술출자

조인트벤처형 창업

현금출자

공공 연구성과의 사업화

안정적 기업 성장

신규 성장동력 사업 진출

기술지원

경영지원

 

이익 배당금 회수

이익 배당금 회수

 

 

국가 및 지자체의 세제 혜택 및 진흥재단의 연구소기업전략육성 지원

 

□  한편, 진흥재단은 창조경제 견인을 위해 연구소기업 창업 및 성장 활성화를 위한 법규 및 지원프로그램 개선 등의 노력에 힘쓰고 있다.


 

붙임1

 

연구소기업 등록 현황

 

('13년 1월 현재)

번호

기업명

출자 연구기관

설립

시기

설립

지역

사업내용

비고

1

㈜선바이오텍

한국원자력연구원

‘06.3

대덕

식‧의약품, 화장품

 

2

㈜템스

한국기계연구원

‘06.12

대덕

천연가스 차량부품

졸업

3

㈜재원티앤에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07.5

대덕

세라믹 부품소재

졸업

4

㈜오투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07.7

대덕

텔레매틱스 분야

 

5

㈜매크로그래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07.7

대덕

영상 특수효과(CG)

 

6

㈜메디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07.12

대덕

바이오 신약개발

 

7

㈜엠피위즈

한국과학기술원

‘08.7

대덕

음성인식 응용제품

 

8

㈜제이피이

한국기계연구원

‘08.10

대덕

광학필름, 성형롤

 

9

㈜비티웍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08.10

대덕

인터넷ID관리

 

10

㈜테스트마이다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08.10

대덕

SW테스팅

 

11

㈜넥스프라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08.12

대덕

홈네트워크

졸업

12

㈜지토피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08.12

대덕

GIS시스템, 솔루션

졸업

13

㈜미코바이오메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09.6

대덕

나노바이오센서

 

14

㈜라스테크

한국과학기술원

‘09.6

대덕

원격제어 로봇

 

15

㈜Gphoton

한국전자통신연구원

‘09.6

대덕

광송수신 시스템

졸업

16

㈜서울프로폴리스

한국원자력연구원

‘09.7

대덕

생물학적 제제

 

17

㈜디엠브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09.10

대덕

DMB응용시스템

 

18

㈜케이에너지

한국화학연구원

‘09.10

대덕

다결정실리콘장비

 

19

㈜쓰리디누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09.12

대덕

3D입체영상

 

20

㈜바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0.8

대덕

다층 가진기 개발

 

21

㈜쏘그웨어

에트리홀딩스

‘10.12

대덕

게임서버 부하테스트

 

22

㈜스마트큐

에트리홀딩스

‘10.12

대덕

DTV셋톱박스 개발

 

23

원자력안전평가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11.4

대덕

방사능 방재 솔루션

 

24

보광리소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1.8

대덕

인공 씨감자 대량생산 기술

 

25

알이엠텍㈜

한서대학교

‘11.10

대덕

에어로겔 관련제품 개발

 

26

㈜인트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트리홀딩스

‘11.12

대구

멀티미디어 코덱

 

27

㈜케이씨피이노베이션

에트리홀딩스

‘11.12

대덕

스마트 지갑 기술

 

28

㈜아큐젠 헬스케어

에트리홀딩스

‘11.12

대덕

바이오칩 리더기

 

29

㈜아리텔

에트리홀딩스

‘11.12

대덕

LTE 펨토셀 통신중계기

 

30

㈜호전에이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5

대덕

전자집적회로소재

 

31

㈜감동공장

에트리홀딩스

‘12.8

대덕

교육용 멀티미디어 솔루션

 

32

제이케어㈜

전남대기술지주회사

‘12.9

광주

기능성 화장품 제조

 

33

㈜세이프텍리서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2.9

대덕

해상교통안전진단 등

 

34

㈜올레브

한국과학기술원

‘12.11

대덕

온라인전기 자동차

 

35

㈜아이카이스트

한국과학기술원

‘12.12

대덕

전자칠판 및 교육솔루션

 

36

㈜뉴런

에트리홀딩스

‘12.12

대구

영상 디지털 도어록

 

37

㈜클라우젠

에트리홀딩스

‘12.12

대덕

클라우드 PC시스템

 

38

㈜엔라이팅

에트리홀딩스

‘12.12

대덕

OLED조명 기판

 

 

 

붙임2

 

연구소기업 BI

 

 

     

 

 

「 공공누리 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가능)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창작한 본 저작물은 「 공공누리 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가능) 」 조건에 따라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