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언론보도

2012년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 487억원 투입, 시행계획 공고

  • 작성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작성일 2012-03-12
  • 조회수 9,392

’12년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 487억원 투입, 시행계획 공고


기술이전 100건, 매출 2,330억원 성과목표



□ 지식경제부(장관 홍석우)와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이사장 이재구)는 9일 ‘12년도 특구육성사업 시행계획을 확정, 오는 15일 사업설명회를 갖고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올해 연구개발특구 육성사업에는 대덕 347억원, 광주·대구 각 70억원 등 전년(431억원)보다 13% 증가한 487억원이 투입된다.


 ㅇ 이를 통해 기술이전 100건, (향후 5년)매출액 2,330억원, 연구소기업 9개 설립 등 기술사업화 성과를 달성한다는 계획.


□ 사업별로는 ▲연구소기업 육성, 특구간 공동기술사업화 등 특구기술사업화 부문 354억원 ▲기술사업화 3-up교육 등 창업·성장지원 60억원 ▲기술탐색이전, 기술사업화기획, 특구기술오픈마켓 등 우수기술 이전공급 부문 53억원 ▲STP글로벌화, 네트워크 등 커뮤니티 및 글로벌 사업부문 20억원이 각각 투입된다. <표참조>


< 2012년 특구육성사업 세부내용>


사업구분

사업 내용

특구기술사업화
(354억원)

  ·특구기술사업화
  ·특구간 공동기술사업화
  ·연구소기업 전략육성
  ·국제공동기술사업화
  ·이노폴리스캠퍼스 육성

창업·성장지원
(60억원)

  ·기술사업화 3-up 교육
  ·기술경영애로해결
  ·토탈디자인
  ·유망기술정보제공

우수기술이전공급
(53억원)

  ·기술탐색이전
  ·특구기술오픈마켓
  ·업그레이드 기술이전
  ·R&BD사전기획
  ·사업화전략 고도화
  ·연구소기업 기술가치평가

커뮤니티 및 글로벌 교류
(20억원)

  ·STP모델 글로벌화
  ·네트워크 및 교류


ㅇ 올해에는 과거 5~6월경 시행되었던 사업공고 시점을 3월로 대폭 앞당겨 사업의 연내 수행 등 조기집행 여건을 조성하고, 적기에 차년도 사업을 기획하는 사업의 선순환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 특징이다.


□ 특구본부는 ‘12년 육성사업에 있어 성과중심의 사업추진을 위해 신규과제 평가시 사업성을 대폭 중시할 방침이다.


 ㅇ 이를 위해 종전 R&D중심의 사업계획서 양식을 마케팅 로드맵 제시의무화 등 R&BD과제에 걸맞도록 보완하고, 과제선정 시 사업성 평가기준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 또한 ‘11년말 선정한 각 특구별 특화분야를 중점 지원하되, 3개 특구를 연계하는 특구간 공동기술사업화 등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특구별 특화분야 >


대덕특구

광주특구

대구특구

  IT융복합
  바이오메디컬     
  나노융합
  정밀기기

  광기반융복합
  친환경자동차부품 
  스마트그리드
  디자인문화컨텐츠  
  바이오소재

  스마트IT 융복합
  의료기기/소재 융복합
  그린에너지 융복합
  메카트로닉스 융복합


□ 특히 올해에는 ‘이노폴리스캠퍼스 육성’과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 인프라를 활용한 ‘시작품 제작’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아이디어창업지원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ㅇ 이노폴리스캠퍼스 육성은 상대적으로 참여가 낮은 대학의 산학협력 역량을 활용해 기술애로지원 바우처사업과 창업아이템 검증사업 등 기업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사업으로, 올해에는 2개 사업에 4개 대학을 선정할 예정이다.


 ㅇ 아이디어 기술창업지원 사업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예비창업자가 테크비즈센터(TBC)의 인프라와 각종 유?무형 자원(전문인력, 장비, 지원프로그램)을 활용해 기술창업 성공률을 높이도록 지원하는  총체적 자원 제공 창업지원 프로그램이다.


□ 이외에도 금년 500억원 등 3년간 총 1,250억원 규모의 특구펀드 조성을 통해 특구 기업이 겪는 기술금융애로를 해결하고, 특구육성사업과 연계지원을 통해 성과 극대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 이재구 이사장은 “올해 특구육성 사업은 그동안 구축된 인프라와 지원역량을 총체적으로 활용해 히든챔피언 등 첨단스타기업외 특구성공모델을 조기 창출하는데 주안을 두었다”고 강조했다.


□ 한편 지식경제부와 특구본부는 오는 15일 대덕특구, 22일 대구특구, 28일 광주특구 등 지역별로 올해 사업에 대한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


지    역

일     시

장      소

문 의 처

대덕특구

3.15 (목)

14:00~16:00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2층

 대덕기술사업화센터

 042-865-8867

대구특구

3.22 (목)

14:00~15:00

  대구융합R&D센터 벤처2호관 1층  대구기술사업화센터
 053-592-8355

광주특구

3.28 (수)

14:00~15:00

  광주테크노파크 본부동 2층  광주기술사업화센터
 062-576-9301


 ㅇ 상세한 내용은 지식경제부(www.mke.go.kr),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www.innopolis.or.kr), 대덕테크인사이트(www.dit.or.kr)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끝.


「 공공누리 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가능)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창작한 본 저작물은 「 공공누리 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가능) 」 조건에 따라 이용이 가능합니다.